各樣各色 (각양각색)
: 가지각색(--各色). 각기(各其) 다른 여러 가지 모양(模樣)과 빛깔.
各 각각 각
樣 모양 양
色 빛 색
[Noun]
1. 종류, 유형
forms of transport / government / energy
운송 수단/정부/에너지의 종류
2. (무엇이 드러나는 특정한) 방식[형태]
The disease can take several different forms.
그 질병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를 띨 수가 있다.
3. (공식적인 문서의) 서식(書式)
an application/entry/order form
지원서/참가 신청서/주문서
4. (사람·사물의) 모습[형체]
her slender form
그녀의 호리호리한 모습
5. (특히 글·회화의) 형식[양식]
In a novel form and content are equally important.
소설에서는 형식과 내용이 똑같이 중요하다.
6. 몸의 상태, 컨디션; 건강한 상태
After six months’ training the whole team is in superb form.
6개월간의 훈련 뒤에 팀원 전원이 아주 훌륭한 몸 상태가 되었다.
7. 기량, 솜씨
Midfielder Elliott has shown disappointing form recently.
미드필더인 엘리엇이 최근에 실망스러운 기량을 보여주었다.
8. 관례
What’s the form when you apply for a research grant?
연구비를 신청하려면 관례가 어떻게 되나요?
9. 바른/틀린 예법
10. (단복수·시제 등을 나타내는) 형태[어형]
the infinitive form of the verb
그 동사의 부정사형
11. 학급, 반
Who’s your form teacher?
너네 반 담임 선생님은 누구시니?
12. …학년 학생
a third-former
3학년생
[Verb]
1. 형성되다; 형성시키다
Flowers appeared, but fruits failed to form.
꽃은 피었지만 열매는 형성되지 못했다.
2. 구성[형성]되다; 구성하다[형성시키다]
A plan formed in my head.
내 머릿속에서 하나의 계획이 구체화되었다.
3. (특정한 방식·형태로) 만들어 내다
Form the dough into balls with your hands.
손으로 반죽을 동글동글하게 빚어라.
4. (무리가 어떤 형태를 갖도록) 모으다[만들다]; 모이다[이루다]
to form a line/queue/circle
한 줄로 서다/한 줄로 서다/원을 이루다
5. (특정한) 기능을 하다[패턴이 되다]
The trees form a natural protection from the sun’s rays.
그 나무들이 햇살을 막아 주는 천연 보호막 역할을 한다.
6. …이다
The castle forms the focal point of the city.
그 성은 그 도시의 중심점이다.
7. (단체·위원회 등을[이]) 구성[결성]하다[되다]
They hope to form the new government.
그들은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게 되기를 바라고 있다.
8. (무엇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다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form a child’s character.
긍정적, 부정적 경험들이 아동의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오후 세시 일반부:
어은님 나오다.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을 하다.
누워 다리들어 버티기를 할 때 어은님이 물으셨다.
"떨리는 게 정상인가요?"
말씀드리다. "네, 정상입니다. 누군든지 다 떱니다. 다만 체력 차이로 약간의 시간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몸을 떠는 것은 지금 근력을 강화시키려고 에너지를 만드는 중이라고 생각합니다. '추울 때 왜 몸을 떠는가'를 생각해 본 적이 있는데,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떠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론 물리학 초끈이론에 의하면 궁극의 에너지는 떨림(율려)이라고 한다.
단전호흡 및 명상을 하다.
수련을 마치고 탁구를 하다.
오후 다섯시부:
강림, 서우, 승민, 승호, 시원,
율, 옌짱, 짱구, 쭈벨 나오다.
수련 전 자유롭게 공놀이(피구)를 하다.
기지개 체조를 하다.
팔벌려 높이뛰기를 배우고 연습하다.
쭈벨이 앞에서 기본검법, 이어베기를 리드하다.
서우, 옌짱:
기마자세 발검, 정면베기, 착검을 배우고 연습하다.
줄넘기를 하다.
높이뛰기를 하다.
우리 수련원은 얼마전 나이순으로 앉기로 했다. 그리고 말했다.
"왜 이렇게 앉는지 알지? 앞에 선 사람들이 모범이 되어야 해."
앞에서 장난치면 마치 돌림노래 같이 그대로 저학년 아이들이 따라한다. 수업 시간에 아이스크림을 먹거나 앞에서 장난을 치면 그대로 따라하니 그러면 안된다는 메시지를 주다. 저학년 아이들이 하원을 하고 고학년 아이들이 남았을 때 말했다. 저학년 아이들이 관심을 받고 싶어하여 수업시간에 그렇게 해서는 안되는 행동을 하기도 하는데, 그건 관장님이 알아서 가르칠테니까 너희들이 짜증을 내거나 하면 안된다.
내 말은 안들어도 율이나 쭈벨의 말을 더 잘 받아들이는 아이들이 있어 율과 쭈벨에게 이런 경우가 있으니 도와달라는 말을 하다.
ps1. 서우가 말했다. "떼를 쓴다고 해결이 안된다는 것을 알아요. (오~ 언제 알았는데...) 옛날에... 7살 때요! (대화로 해결하는 거야...)"
ps2. 짱구가 물었다. "관장님! 이거 양말하고 옷하고 어딘가에 넣어 가지고 싶어요. (오~ 그렇지! 그렇게 말을 하면 관장님이 도와줄 수 있지!)"
화요일 오후 여섯시반 파이썬부:
율 나오다.
- print함수와 매개변수 end
- 함수와 매개변수
"함수는 뭐다? (동작이다.)"
"박스를 만드는 함수를 만들거야. 그러면 이름을 뭐라고 지어야 해? (MakingBox...) 그렇지! 관련된 이름으로 만들어야 하고, 띄어쓰기를 하면 안된다. 띄어쓰기를 하고 싶으면 언더바를 붙여야 한다."
"자! 함수를 만들었어. 어떻게 실행시켜야 해? (이름을 불러야 해요.) 그렇지! 이름을 부르면 함수가 호출되어 실행되는 거야."
"박스를 100개 만들고 싶어? 그러면 이름을 100번 적어서 불러? (네~) 그러면 박스를 만개 그리고 싶어. 만번을 이름을 적어?"
"박스 크기를 바꾸고 싶어!"
말했다. "어때?"
율이 말했다. "우와! 신기하다!"
말했다. "지금 보여준 코딩은 관장님이 수업하기 전에 생각한 것이 아니야. 율이 얼굴을 보고 필요한 것 같아서 만든거지. 이런 생각은 스스로 해야 해. 안돼면 일주일간 고민을 해야 하고..."
단계별로 코딩을 보여주며 조금씩 유연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오후 여덟시 일반부:
여윤님 나오다.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을 하다.
육합단공을 수련하다.
삼성보 대풍역수를 수련하다.
여윤님이 말씀하다. "아직 또르륵보도 잘 안돼는데요."
말씀드리다. "어차피 대풍역수구요. (똑같은 것만 하면 재미가 없으므로) 재미요소도 중요하니까요."
수련을 마치고 탁구를 하다.
역회전 서브를 연습하다.